야근이나 주말 근무로 잔업수당 챙기고 싶다면?
계산법부터 통상임금까지 핵심만 간단히 정리해볼게요.
바쁘신 분은 가장 아래 간단요약 보러가세요 !
아래 목차를 클릭하시면 해당 위치로 바로 이동합니다
목차
잔업수당 계산 기본과 통상임금
항목 | 설명 | 포함 여부 | 비고 | 계산 기준 |
기본급 | 정규 근로 임금 | 포함 | 소정근로 기준 | 월급/209시간 |
직무수당 | 업무 특성 보상 | 포함 | 정기 지급 시 | 월 수당/209 |
연장수당 | 초과 근로 보상 | 미포함 | 가산 제외 | - |
식대 | 복리후생비 | 포함 | 2024년부터 | 월 식대/209 |
상여금 | 성과 보상 | 미포함 | 비정기적 시 | - |
잔업수당 계산은 통상임금이 기본이에요. 통상임금은 소정근로에 대해 정기적, 일률적으로 지급되는 임금을 말해요. 예를 들어, 월급 200만 원에 직무수당 20만 원 받으면 총 220만 원을 209시간(주 40시간 기준)으로 나눠 시간당 통상임금을 구해요. 연장수당이나 비정기 상여금은 포함 안 되니까 주의해야 해요. 계산법은 간단하지만, 회사마다 수당 체계 달라서 꼼꼼히 확인하는 게 중요하죠 :)
기본급만 포함되는 건 아니에요. 2024년부터 식대, 교통비 같은 복리후생비도 통상임금에 들어가요. 예를 들어, 기본급 200만 원에 식대 10만 원이면 210만 원이 통상임금이 돼요. 이렇게 시간당 통상임금(약 10,048원) 구한 뒤 잔업 시간에 맞춰 계산하면 돼요. 연장수당은 통상임금과 별개라 혼동하지 마세요!
계산법은 간단해요. 잔업수당은 통상임금에 1.5배를 곱한 값으로 계산해요. 예를 들어, 시간당 10,000원에 2시간 잔업하면 10,000 × 1.5 × 2 = 30,000원이에요. 야간이나 휴일이면 추가 가산되니 상황 따라 다르게 적용하면 돼요. 엑셀 쓰면 더 편리하죠 :)
회사마다 다를 수 있어요. 통상임금에 어떤 수당이 포함되는지는 회사 규정에 따라 달라요. 급여명세서 확인하거나 인사팀에 물어보면 정확히 알 수 있어요. 특히 정기적이지 않은 상여금이나 초과 근로 수당은 빼고 계산해야 하니까, 본인 임금 체계 파악하는 게 먼저예요!
야간 잔업수당 계산법
구분 | 시간대 | 가산 배수 | 적용 조건 | 예시 |
야간 | 22:00-06:00 | 1.5배 | 5인 이상 | 10,000×1.5 |
야간+연장 | 22:00 이후 초과 | 2.0배 | 중복 가산 | 10,000×2 |
야간+휴일 | 휴일 22:00-06:00 | 2.5배 | 8시간 이내 | 10,000×2.5 |
야간+휴일 초과 | 휴일 8시간 초과 | 3.0배 | 최대 가산 | 10,000×3 |
야간 잔업은 밤 10시부터 시작이에요. 야간 근로는 오후 10시부터 다음 날 오전 6시 사이에 해당해요. 이때는 통상임금의 1.5배를 기본으로 계산하는데, 예를 들어 시간당 10,000원이면 15,000원이 돼요. 5인 이상 사업장에 적용되니까 소규모 사업장은 회사 규정 확인해야 해요. 야간 3시간 일하면 45,000원 받는 식이죠 :)
연장과 중복되면 더 올라가요. 야간에 법정 근로시간(1일 8시간, 주 40시간)을 넘기면 연장 가산까지 붙어서 2배로 계산돼요. 예를 들어, 밤 11시까지 2시간 더 일하면 10,000 × 2 × 2 = 40,000원이에요. 근로계약서에 명시된 소정근로시간 넘는지 꼭 확인하세요!
휴일 야간은 더 챙길 수 있어요. 휴일에 야간 근무하면 최소 2.5배예요. 휴일 8시간 이내는 1.5배(휴일) + 0.5배(야간), 초과하면 2배(휴일) + 0.5배(야간)으로 3배까지 가능해요. 토요일이 휴일이면 야간 잔업 시 더 받을 수 있으니 계산 잘 해보세요 :)
엑셀로 쉽게 계산해요. 야간 잔업 많으면 엑셀에 시간대별로 입력하면 편해요. 통상임금에 배수 곱하는 공식 넣으면 자동 계산돼요. 예를 들어, “=시간×시급×배수”로 설정하면 실수 줄이고 시간도 아껴요. 복잡하면 잔업수당 계산기 앱 써도 좋아요!
토요일 잔업수당 계산법
상황 | 조건 | 가산 배수 | 계산 예시 | 비고 |
연장 | 주 40시간 초과 | 1.5배 | 10,000×1.5×2 | 평일 초과 시 |
휴일 | 토요일 휴일 지정 | 1.5배 | 10,000×1.5×8 | 8시간 이내 |
휴일 초과 | 8시간 초과 | 2.0배 | 10,000×2×2 | 휴일 연장 |
휴일+야간 | 22:00-06:00 | 2.5배 | 10,000×2.5×2 | 중복 적용 |
토요일 잔업은 상황 따라 달라요. 평일 주 40시간 넘기고 토요일에 일하면 연장근로로 1.5배 계산이에요. 예를 들어, 시급 10,000원에 2시간 일하면 30,000원 챙길 수 있어요. 토요일이 회사 휴일이 아니면 이렇게 계산하면 되고, 근로계약서 확인이 필수예요 :)
휴일이면 더 받을 수 있어요. 토요일이 휴일로 지정돼 있으면 8시간까지 1.5배, 초과하면 2배예요. 예를 들어, 8시간 일하면 120,000원, 추가 2시간 더하면 40,000원 추가로 총 160,000원이죠. 휴일 여부는 회사 규정에 따라 다르니 꼭 체크하세요!
야간까지 겹치면 대박이에요. 토요일 휴일에 밤 10시 넘어서 일하면 2.5배까지 가능해요. 시급 10,000원에 2시간 야간 잔업하면 50,000원이에요. 최대 3배까지 갈 수 있으니, 근무 시간대 잘 기록해두면 계산 쉬워요 :)
계산 실수 없게 하려면요. 토요일 근무는 연장, 휴일, 야간 조건 따라 배수가 달라져요. 엑셀에 “시급×시간×배수” 공식 넣으면 편하고, 근무일지 쓰면 나중에 확인할 때도 좋아요. 회사에서 잘못 계산해줄까 봐 꼼꼼히 챙기는 게 중요해요!
특근 잔업수당 계산법
구분 | 조건 | 가산 배수 | 계산 예시 | 적용 시기 |
휴일 특근 | 8시간 이내 | 1.5배 | 10,000×1.5×8 | 법정 휴일 |
휴일 초과 | 8시간 초과 | 2.0배 | 10,000×2×2 | 휴일 연장 |
휴일+야간 | 22:00-06:00 | 2.5배 | 10,000×2.5×2 | 중복 시 |
특근+초과+야간 | 8시간 초과+야간 | 3.0배 | 10,000×3×2 | 최대 가산 |
특근은 휴일 근무를 말해요. 법정 휴일(주휴일, 공휴일 등)에 일하면 특근으로 최소 1.5배 계산돼요. 예를 들어, 시급 10,000원에 8시간 일하면 120,000원이에요. 8시간 넘기면 2배로 올라가니, 2시간 더 하면 40,000원 추가로 총 160,000원이죠. 휴일 여부는 회사 달력 확인하세요 :)
야간까지 겹치면 더 챙겨요. 특근에 야간(22:00-06:00)이 포함되면 2.5배 적용돼요. 시급 10,000원에 2시간 야간 특근하면 50,000원이에요. 8시간 초과하면 3배까지 가능해서, 최대한 받을 수 있는 상황 잘 챙겨야 해요!
계산법은 간단해요. 특근 수당은 통상임금에 시간과 배수 곱하면 돼요. 예를 들어, 10,000×1.5×8로 8시간 특근 계산하면 120,000원이에요. 엑셀에 공식 넣으면 더 편하고, 근무 시간 기록 잘 해두면 실수 없어요 :)
회사 규정 확인이 중요해요. 특근이 법정 휴일인지, 약정 휴일인지에 따라 다를 수 있어요. 근로계약서나 회사 규칙 보면 정확히 알 수 있으니, 모르면 인사팀에 물어보세요. 제대로 계산 안 해주면 손해 볼 수 있으니까 꼼꼼히 챙기세요!
잔업수당 계산 엑셀 활용법
항목 | 입력값 | 공식 예시 | 결과 | 비고 |
통상임금 | 10,000원 | A1 | 10,000 | 기본값 |
연장 | 2시간 | A1×1.5×B2 | 30,000 | 주중 |
휴일 | 8시간 | A1×1.5×B3 | 120,000 | 8시간 이내 |
야간+휴일 | 2시간 | A1×2.5×B4 | 50,000 | 중복 |
총액 | - | SUM(C2:C5) | 200,000 | 합계 |
엑셀로 잔업수당 계산하면 편해요. 엑셀에 통상임금, 근무 시간, 배수 입력하면 자동으로 계산돼요. 예를 들어, 시급 10,000원(A1)에 연장 2시간(B2) 넣고 “=A1×1.5×B2” 쓰면 30,000원 나와요. 각 상황별 공식 넣으면 한 번에 정리돼서 실수 줄이고 시간 아껴요 :)
설정하는 법 간단해요. 열에 통상임금, 시간, 배수 나눠 입력하고, 결과 열에 공식 쓰면 돼요. 휴일 8시간은 “=A1×1.5×B3”로 120,000원, 야간+휴일은 “=A1×2.5×B4”로 50,000원 계산돼요. 마지막에 “=SUM()”으로 총액 구하면 끝이에요!
복잡한 경우도 쉽게 해결돼요. 야간, 휴일, 초과가 섞이면 배수만 조정하면 돼요. 예를 들어, 3배 적용 시 “=A1×3×시간”으로 설정하면 바로 결과 나와요. 근무일지랑 맞춰보면 회사 계산 오류도 잡을 수 있어요 :)
활용 팁 드릴게요. 엑셀 파일 저장해두고 매달 업데이트하면 나중에 급여 확인할 때 편해요. 근무 시간 기록 꼼꼼히 해서 공식에 넣으면 정확도 올라가요. 인터넷에 잔업수당 계산기 템플릿도 많으니 다운 받아 써도 좋아요!
마무리 간단요약
- 통상임금 잘 챙겨요. 기본급에 정기 수당 포함, 연장수당은 빼세요.
- 야간은 1.5배부터. 밤 10시 넘으면 더 받으니 시간 체크 필수예요.
- 토요일은 상황별. 연장이면 1.5배, 휴일이면 2배까지 가능해요.
- 특근은 휴일 기준. 1.5배 시작, 야간 겹치면 3배까지 챙겨요.
- 엑셀 쓰면 편해요. 공식 넣고 계산하면 실수 없어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