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휴수당 계산법 알바 시급제 한달 기준 정확한 공식 알아보세요

by 안다박사한박사 2025. 3. 30.

 

 

 

 

 

알바하면서 주휴수당 제대로 받고 있나요?
시급제부터 한 달 계산까지 핵심만 딱 정리해드릴게요.

 

 

 

 

바쁘신 분은 가장 아래 간단요약 보러가세요 !

아래 목차를 클릭하시면 해당 위치 바로 이동합니다

목차

     

     

     

     

     

     

    주휴수당
    주휴수당

     

     

     

     

     

     

     

     

     

     

    주휴수당 계산법 기본 공식

     

    항목 내용 계산 공식 조건 예시
    주휴수당 유급 휴일 시급 × 주휴시간 주 15시간 이상 10,000원 × 8시간 = 80,000원
    주휴시간 1일 근무시간 주 근무시간 ÷ 5 최대 8시간 40시간 ÷ 5 = 8시간
    적용 대상 시급제 근로자 - 근로계약서 확인 알바, 파트타임
    지급 주기 주급/월급 - 사업주 결정 매주/매달

     

    주휴수당 계산법은 간단해요. 기본 공식은 시급 × 주휴시간이에요. 주휴시간은 주 근무시간을 5로 나눈 값인데, 최대 8시간까지만 인정돼요. 예를 들어, 시급 10,000원에 주 40시간 일하면 8시간分の 주휴수당이 나와서 80,000원이 추가로 붙는 거죠. 알바생이라면 주 15시간 이상 일해야 받을 수 있으니 근무 조건 꼭 확인하세요!

     

    조건이 중요해요. 주휴수당은 근로기준법상 주 15시간 이상, 2개월 이상 근무 시 보장돼요. 근무일이 5일 미만이어도 비례해서 계산되니까, 편의점 알바처럼 주 3일만 일해도 받을 수 있어요. 단, 계약서에 주휴수당 포함 여부 명시됐는지 확인하는 게 안전하죠 :)

     

    실제 예시로 풀어보면요. 시급 9,620원(2025년 최저시급 기준), 주 20시간 근무 시 주휴시간은 20 ÷ 5 = 4시간이에요. 그러면 주휴수당은 9,620원 × 4시간 = 38,480원이 나와요. 이걸 주급에 더하거나 월급에 포함해서 받을 수 있으니, 계산 틀리지 않게 꼼꼼히 체크해보세요!

     

    헷갈릴 땐 이렇게 해보세요. 근무시간 적어놓고 공식에 대입해보는 게 제일 정확해요. 사업주가 주휴수당 안 준다고 하면, 근로계약서나 급여명세서 들고 노동청에 문의할 수도 있으니 권리 꼭 챙기세요. 알바생도 법으로 보호받는 거 아시죠? ;)

     

     

     

     

     

     

     

     

    알바 주휴수당 계산법 예시

     

    근무 유형 시급 주 근무시간 주휴시간 주휴수당 총 주급
    편의점 알바 9,620원 20시간 4시간 38,480원 230,880원
    카페 알바 10,000원 15시간 3시간 30,000원 180,000원
    식당 알바 11,000원 40시간 8시간 88,000원 528,000원

     

    편의점 알바 주휴수당은 이렇게 나와요. 시급 9,620원에 주 20시간 일하면 주휴시간은 20 ÷ 5 = 4시간, 주휴수당은 9,620 × 4 = 38,480원이에요. 기본 급여 192,400원에 더해서 총 주급 230,880원이 되는 거죠. 편의점처럼 주 3-4일 근무하는 경우에도 딱 맞게 계산하면 돈 더 받을 수 있어요!

     

    카페 알바도 계산 쉬워요. 시급 10,000원, 주 15시간 근무하면 주휴시간은 15 ÷ 5 = 3시간이에요. 주휴수당은 10,000 × 3 = 30,000원, 기본 급여 150,000원 합쳐서 총 180,000원이 주급이에요. 최소 조건 딱 맞춰서 일해도 주휴수당 받을 권리 있으니 놓치지 마세요 :)

     

    식당 알바는 더 커요. 시급 11,000원에 주 40시간 풀타임으로 일하면 주휴시간은 40 ÷ 5 = 8시간이에요. 주휴수당은 11,000 × 8 = 88,000원, 기본 급여 440,000원에 더해서 총 528,000원이 나와요. 풀타임 알바생이라면 주휴수당이 꽤 쏠쏠하죠!

     

    실제 적용 팁 드릴게요. 근무시간이 딱 떨어지지 않을 땐 소수점 버리고 계산해요. 예를 들어 주 17시간이면 17 ÷ 5 = 3.4시간인데, 3시간으로 계산하는 식이에요. 사업주가 주휴수당 빼고 준다면 급여명세서 꼭 확인하고, 안 맞으면 바로 말하세요;;

     

     

     

     

     

     

     

     

    주휴수당 계산법 한 달 기준

     

    항목 시급 주 근무시간 주휴시간 주휴수당 월 주휴수당 총 월급
    기본 9,620원 20시간 4시간 38,480원 153,920원 961,920원
    풀타임 10,000원 40시간 8시간 80,000원 320,000원 2,000,000원

     

    한 달 주휴수당 계산은 이렇게 해요. 주휴수당을 월급으로 받으려면 주 단위 계산한 걸 한 달 주수로 곱하면 돼요. 예를 들어, 시급 9,620원에 주 20시간 일하면 주휴수당 38,480원 × 4.345주 = 153,920원이에요(4.345는 1년 52주 ÷ 12개월). 기본 월급 808,000원 더해서 총 961,920원이 나와요!

     

    풀타임은 더 간단해요. 시급 10,000원, 주 40시간 근무 시 주휴수당은 80,000원이에요. 한 달로 계산하면 80,000원 × 4.345 = 347,600원인데, 보통 320,000원 정도로 맞춰서 줘요(회사마다 다름). 기본 월급 1,680,000원에 더해서 총 2,000,000원 정도 받을 수 있죠 :)

     

    월급에 포함될 수도 있어요. 사업주가 주휴수당을 월급에 합쳐서 줄 때가 많아요. 급여명세서 보면 ‘주휴수당’ 항목 따로 있거나, 기본급에 포함된 경우도 있죠. 4.345배 계산이 맞는지 확인하려면 주휴수당 따로 떼서 계산해보세요. 틀리면 사장님한테 물어보는 거 잊지 마세요;;

     

    주의할 점 알려드릴게요. 월급제로 주휴수당 계산할 때 근무일수 변동 있으면 주휴수당도 달라질 수 있어요. 예를 들어, 한 달 중 쉬는 주가 있으면 그만큼 빼고 계산해야 해요. 정확한 월급 확인하려면 근무시간 기록 남기고, 월급 명세서 꼼꼼히 체크하는 습관 들이세요!

     

     

     

     

     

     

     

     

    주휴수당 계산 시 휴게시간 포함 여부

     

    항목 내용 포함 여부 법적 기준 예시
    휴게시간 근무 중 휴식 미포함 4시간당 30분 5시간 근무 시 4.5시간 계산
    근무시간 실제 일한 시간 포함 휴게시간 제외 8시간 근무 시 7시간 계산
    대기시간 업무 대기 포함 자유 이용 불가 시 1시간 대기 시 포함

     

    휴게시간은 주휴수당에 안 들어가요. 법적으로 근무 4시간당 30분, 8시간당 1시간은 휴게시간으로 보장돼요. 이 시간은 근로자가 자유롭게 쉴 수 있는 시간이라 주휴수당 계산 시 제외돼요. 예를 들어, 하루 5시간 근무 시 30분 빼고 4.5시간으로 계산하는 거예요. 알바생이라면 근무표 잘 확인하세요!

     

    실제 근무시간만 챙기세요. 예를 들어, 편의점 알바 하루 8시간 근무하면 점심시간 1시간은 빼고 7시간으로 주휴수당 계산해요. 주 35시간 일하면 35 ÷ 5 = 7시간이 주휴시간이 되는 거죠. 휴게시간 포함 여부는 사업주가 착각할 수 있으니 명확히 물어보는 게 좋아요 :)

     

    대기시간은 다를 수 있어요. 대기시간은 근로자가 자유롭게 못 쓰면 근무시간으로 봐요. 예를 들어, 손님 없어도 편의점에서 카운터 지켜야 하면 대기시간 포함이에요. 이 경우 주휴수당에 들어가니까 근무 조건 꼼꼼히 따져보세요;;

     

    헷갈릴 땐 기록이 최고예요. 휴게시간 때문에 주휴수당 적게 받았다 싶으면 근무일지나 타임카드 챙겨놓고 확인해보세요. 하루 8시간 근무에 1시간 쉬었다면 7시간 기준으로 계산 맞는지 체크하는 거예요. 문제 있으면 노동청에 문의 넣어도 돼요!

     

     

     

     

     

     

     

     

    주휴수당 계산 시 주의사항

     

    항목 내용 영향 대처법 예시
    결근 무단 결근 미지급 출근율 확인 주 1회 결근 시 0원
    연차 유급 휴가 포함 연차 사용 시 계산 연차 1일 시 근무로 인정
    초과근무 40시간 초과 별도 계산 초과수당 분리 45시간 시 40시간만 주휴
    계약서 주휴 제외 명시 무효 가능 법률 상담 ‘주휴 없음’ 조항 무효

     

    결근하면 주휴수당 못 받아요. 주휴수당은 정해진 근무일 다 채워야 받을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주 5일 근무 중 하루 무단 결근하면 그 주는 주휴수당 0원이에요. 사전에 협의된 휴가는 괜찮지만, 무단 결근은 출근율 떨어뜨려서 손해 볼 수 있으니 조심하세요!

     

    연차는 주휴수당에 영향 없어요. 연차는 유급 휴가라 근무한 걸로 쳐줘요. 주 20시간 근무 중 하루 연차 쓰면 여전히 20시간으로 주휴수당 계산돼요. 단, 연차 없는 단기 알바라면 연차 적용 안 될 수도 있으니 계약서 확인 필수예요 :)

     

    초과근무는 따로 계산해요. 주 40시간 넘으면 초과분은 초과수당(시급의 1.5배)으로 따로 줘요. 주휴수당은 40시간까지만 적용되니까, 45시간 일해도 주휴시간은 8시간이에요. 초과수당과 주휴수당 혼동 말고 명세서 잘 보세요;;

     

    계약서 꼼꼼히 보세요. 계약서에 ‘주휴수당 없음’ 써있다고 무조건 안 받는 게 아니에요. 법적으로 주 15시간 이상 시 주휴수당 필수라 그런 조항은 무효일 수 있죠. 의심되면 노동청이나 노무사 상담 받아서 권리 찾으세요!

     

     

     

     

     

     

     

     

    마무리 간단요약

    • 공식은 간단해요. 시급 × 주휴시간, 주 15시간 넘어야 받아요.
    • 알바 예시는요. 편의점 20시간 하면 38,480원 추가돼요.
    • 한 달 계산은요. 주휴수당 × 4.345로 월급 더해줘요.
    • 휴게시간 빼요. 실제 근무시간만 주휴수당에 넣어요.
    • 주의하세요. 결근하면 못 받고, 계약서 확인 필수예요.

    댓글